한 번 쓰고 버리는 종이 리플렛? 모바일 리플렛이 다른 3가지 이유
- 현수 임
- 2024년 10월 10일
- 3분 분량
최종 수정일: 4월 14일

오프라인 중심의 리테일 운영에서 가장 어려운 과제 중 하나는 '고객의 지속적인 관심'을 유지하는 일입니다. 국내 대표 생활용품 브랜드 자주(JAJU) 역시 이런 과제를 안고 있었습니다. 다양한 카테고리의 제품을 소개하고, 시즌마다 반복되는 프로모션을 안내해야 하는 상황에서 기존의 종이 리플렛만으로는 고객과의 접점을 넓히는 데 한계가 있었죠.
이번 글에서는 자주가 실제 매장 운영에 모바일 리플렛을 도입한 사례를 중심으로, 어떤 변화가 있었고 어떤 전략이 효과적이었는지를 살펴보려 합니다.
왜 종이 리플렛만으로는 부족했을까?
자주는 오랫동안 매장에서 종이 리플렛을 활용해 신상품, 할인, 행사 소식을 전달해왔습니다. 하지만 실무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반복적으로 발생했다고 합니다.
프로모션 정보가 수시로 바뀌어 리플렛 제작 후 곧바로 수정이 필요한 상황
매장을 나간 뒤 리플렛을 잃어버리면 고객과의 연결이 끊김
어떤 리플렛이 효과 있었는지 반응을 알 수 없음
제작과 배포에 드는 비용이 매 시즌 누적
결국 실무 담당자 입장에서는, 리플렛이라는 채널이 더 이상 '효율적'이라고 보기 어려운 도구가 되어버린 셈입니다.
모바일 리플렛 도입 후 무엇이 달라졌을까?
자주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이크뷰의 웹 기반 플랫폼을 활용해 모바일 리플렛을 도입했습니다. 단순히 종이를 디지털로 바꾼 것이 아니라, 콘텐츠 전달 방식 전체를 다시 설계한 것이죠.
1) 오프라인을 넘는 고객 접점 확보
매장 내 QR 코드 설치로 리플렛 접근 유도
문자와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정기 발송
시즌별 캠페인 시작 시점에 맞춰 리플렛 배포
기존처럼 매장을 직접 방문한 고객에게만 리플렛이 전달되던 구조에서, 이제는 오프라인을 넘어서 다양한 접점에서 고객과 브랜드가 연결될 수 있는 방식으로 확장된 것입니다.
2) 변경이 많은 콘텐츠도 유연하게 관리
할인, 신상품, 행사 정보 등 수시로 바뀌는 내용도 빠르게 업데이트
기존 URL을 유지한 채 이미지, 텍스트, 링크 교체 가능
매번 새로 인쇄하거나 물류를 준비할 필요 없음
자주처럼 시즌별 콘텐츠 변경이 잦은 브랜드에겐, 이러한 유연성이 곧 마케팅 실무의 편의성과 직결됩니다. 프로모션 전략이 바뀔 때마다 다시 제작하던 과거 방식과 비교해, 대응 속도는 물론 예산 측면에서도 유리한 선택이 된 것이죠.
3) 고객 반응 기반의 운영 가능
클릭 수, 열람률, 페이지 이탈률 등 정량 지표 확인 가능
어떤 콘텐츠에 더 많은 반응이 있었는지 데이터로 분석 가능
효과적이었던 콘텐츠는 반복 활용하거나 유사 콘텐츠로 확장
단순 배포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배포 이후의 반응을 운영에 반영할 수 있게 된 점이 큰 변화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특정 콘텐츠에 대한 고객 관심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고, 다음 캠페인 전략을 수정하기도 했습니다.
모바일 리플렛을 통해 실무에서 실제로 활용한 전략들
모바일 리플렛은 단순히 보기 좋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운영해야 고객 반응을 끌어낼 수 있을까'에 집중한 점이 자주 사례의 핵심입니다.
핵심 메시지를 강조하는 시각적 구성: 짧은 문구와 강한 이미지 중심으로 스크롤 없이 핵심 메시지를 바로 보여줌
정기적인 발송 주기 설정: 프로모션 시작일 1~2일 전에 리플렛을 배포하여 고객 기대를 높이고 행동을 유도함
고객 맞춤형 혜택 구성: 신규 고객에게는 웰컴 쿠폰, 자주 방문 고객에겐 시즌 한정 쿠폰을 리플렛에 삽입
이러한 전략이 효과적이었던 배경에는, 모바일 리플렛이 콘텐츠 수정과 배포의 자유도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점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실무자가 체감한 변화: '리플렛 운영이 훨씬 가볍고 유연해졌어요'
자주의 디지털 마케팅 실무자는 이렇게 전했습니다:
"이전엔 리플렛 하나 제작하려면 디자인부터 인쇄, 배포까지 손이 많이 갔어요. 그런데 모바일 리플렛은 콘텐츠만 교체하면 되니까 운영이 진짜 편해졌고, 무엇보다 고객 반응을 보면서 다음 리플렛을 기획할 수 있어서 마케팅 자체가 더 전략적으로 바뀐 것 같아요."
실제로 자주는 모바일 리플렛 도입 이후 프로모션 안내의 열람률이 높아졌고, 매장 방문 시점에 맞춘 쿠폰 사용도 증가했다는 결과를 체감했습니다.
마무리하며: 고객 행동을 고려한 콘텐츠가 실무를 바꾼다
모바일 리플렛은 종이 리플렛을 단순히 디지털로 대체한 것이 아니라, 운영 방식, 마케팅 접근 방식 자체를 바꾸는 도구입니다. 자주처럼 고객 접점을 여러 채널로 확장하고, 그 안에서 유연한 콘텐츠 운영을 원하는 브랜드라면 지금이 모바일 리플렛을 도입할 좋은 타이밍일 수 있습니다.